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족 관계 호칭 - 시댁/처가 호칭 정리

by -*♬ 2024. 11. 7.

목차

    반응형

    결혼 후 시댁이나 처가 식구들을 부를 때 어떤 호칭을 사용해야 할지 헷갈리셨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 있으실 거예요. 특히 명절이나 가족 모임 때는 더욱 긴장되고 어려운 법이죠. 이 글에서는 2024년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시댁/처가 호칭들을 꼼꼼하게 정리하고, 복잡한 가족 관계도까지 그림으로 보여드려 더욱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이제 막 결혼하신 분들이나, 가족 관계 호칭이 헷갈리셨던 분들이라면 이 글을 통해 궁금증을 해소하고 자신감 있게 가족들과 소통할 수 있으세요!

    시댁 호칭

     

    결혼 후 여성이 시댁 식구들을 부르는 호칭은 남편을 중심으로 정해집니다. 즉, 남편의 부모님, 형제자매 등을 부르는 호칭이죠. 시댁 호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호칭 관계 설명
    시아버지 남편의 아버지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시동생 남편의 남동생  
    시누이 남편의 여동생  
    시조카 남편의 형제자매의 자녀  
    시외숙부 남편의 외삼촌  
    시외숙모 남편의 외숙모  
    시고모 남편의 고모  
    시삼촌 남편의 삼촌  
    시처남 남편의 처남  
    시올케 남편의 처제  
    시부모님 남편의 부모님  

    참고: 시댁 호칭은 지역이나 가족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누이를 '형님'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고, 시동생을 '아우'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 표에 나온 호칭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칭이므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처가 호칭

     

    결혼 후 남성이 처가 식구들을 부르는 호칭은 아내를 중심으로 정해집니다. 즉, 아내의 부모님, 형제자매 등을 부르는 호칭이죠. 처가 호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호칭 관계 설명
    장인어른 아내의 아버지  
    장모님 아내의 어머니  
    처남 아내의 남동생  
    처제 아내의 여동생  
    처조카 아내의 형제자매의 자녀  
    처외숙부 아내의 외삼촌  
    처외숙모 아내의 외숙모  
    처고모 아내의 고모  
    처삼촌 아내의 삼촌  
    처남편 아내의 남동생의 배우자  
    처제부 아내의 여동생의 배우자  
    장인장모님 아내의 부모님  

    참고: 처가 호칭 역시 지역이나 가족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처제를 '동서'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고, 처남을 '매형'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 표에 나온 호칭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칭이므로 참고하시면 됩니다.

    가족 관계도

    가족 관계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참고: 가족 관계도는 가족 구성원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일반적인 가족 관계를 나타낸 것이므로, 실제 가족 관계는 다를 수 있습니다.

    호칭 사용 팁

    • 처음에는 어색하더라도 용기를 내어 부르세요. 처음에는 어색하고 낯설더라도, 용기를 내어 호칭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족들에게 직접 물어보세요. 혹시 호칭이 불편하거나 헷갈린다면, 가족들에게 직접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댁/처가 식구들에게는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 상황에 맞는 호칭을 사용하세요. 예를 들어, 시어머니에게는 '어머니'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친한 사이라면 '엄마'라고 부르는 것도 가능합니다.

    추가 정보

    결혼 후 가족 관계는 더욱 복잡해지고, 때로는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소통한다면, 가족 관계는 더욱 돈독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이 시댁/처가 호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